설트랄린(Sertraline)는 어떤 경우에 사용하게 될까요? 💊

안녕하세요 해람 연구회 입니다

설트랄린(Sertraline)은 항우울제로 보통은 졸로푸트(Zoloft)라는 상품명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항우울제입니다

이전에 포스팅 했던 적이 있는 렉사프로(에스시탈로프람)에 비해서는 자주 사용되는 약은 아니지만 이 역시 매우 자주 사용되는 항우울제 중에 하나입니다

물론 단순한 우울증에서도 설트랄린(Sertraline)은 매우 자주 사용되는 약이기는 하지만 에스시탈로프람(렉사프로)가 특별한 상황이 없을 때 많이 사용된다면 설트랄린은 특정한 증상들이 있을 때 많이 사용되는데 어떤 증상들일까요? 😌

a korean university student is trying to overcome depressive disorder.

설트랄린(Sertraline)은 강박 증상이 있을 때 많이 사용됩니다

강박이란 우리가 생각하고 싶지 않은 생각들이 머릿속으로 계속해서 파고 들어가는 생각들을 이야기 하는데요 강박이 발생하는 대표적인 정신과적 질환은 강박 장애 입니다

강박 장애는 강박 사고와 이에 따르는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강박 행동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인지행동치료와 함께 약물 치료롤 치료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이때 세로토닌 농도를 높게 올리는 약이 효과가 크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전에는 클로미프라민(Clomipramine)이라는 삼환계 항우울제(Tricyclic Antidepressant)가 많이 사용되었는데 클로미프라민이 오래전에 개발된 약이어서 부작용이 많다 보니 이를 대체하기 위해서 설트랄린(Sertraliine)이 많이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강박 사고를 보이는 대표적인 정신과적인 문제가 강박 장애이기는 하지만 강박 장애 이외에도 우울증과 같은 다른 질환에서 강박 사고를 보이는 경우가 있고 강박 장애처럼 행동으로 불안감을 해소하려고 하지 않아도 강박 사고만 보이는 경우도 있는데 이럴 때도 설트랄린(Sertraline)이 사용됩니다 😊

a korean university student is trying to overcome depressive disorder.

설트랄린(Sertaline)은 불안장애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강박적 사고가 동반되는 질환들 뿐만 아니라 또 설트랄린이 효과가 크다고 알려진 다른 질환은 바로 불안장애 계열입니다

불안은 특정한 위험이나 위협이 명확하지 않거나 없는 상황에서도 느껴지는 막연한 두려움이나 걱정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실제 위험을 과장되게 인식하거나 예상할 때 발생합니다

이렇게 실제 상황을 지나치게 과도한 위협으로 받아들여서 생기는 대표적인 불안 장애는 발표불안과 사회불안 장애, 공황장애 등으로 우리가 가장 흔하게 겪는 질환들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불안장애에 가장 효과적인 치료제는 파록세틴(Paroxetine)이라는 항우울제이지만 파록세틴은 졸음을 일으킬 수 있는 진정효과가 큰 편이기 때문에 진정효과에 민감한 분들은 설트랄린을 선택하게 됩니다

불안 장애에서 항우울제가 사용되는 것에 대해서 의아하게 생각하는 분들도 계시는데 불안감도 생물학적으로는 세로토닌의 결핍에 의해서 발생한다고 보기 때문에 뇌에서 세로토닌의 농도를 올리는 항우울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

a korean university student is trying to overcome depressive disorder.

설트랄린(Sertraline)이 널리 사용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바로 부작용이 적다는 것입니다

이전에 에스시탈로프람(렉사프로)가 자주 사용되는 이유가 효과가 좋은 것에 비해서 부작용이 적기 때문이라고 설명드린 적이 있는데 사실 설트랄린도 비슷한 이유가 매우 큽니다

강박장애에 대한 효과는 위에서 말씀드린 클로미프라민(Clomipramine)과 같은 과거에 사용되던 항우울제가 더 좋지만 이렇게 오래된 항우울제는 세로토닌 재흡수만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뇌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입마름이나 시야흐림, 졸림과 같은 부작용이 있는 경우가 매우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설트랄린은 효과도 충분히 있지만 위에서 설명 드린 일상생활에 지장을 일으킬 수 있는 부작용이 크지 않기 때문에 널리 사용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

a korean university student is trying to overcome depressive disorder.

설트랄린을 비롯한 항우울제의 개발 방향은 부작용의 최소화와 효과의 최대화입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항우울제를 포스팅에서 소개해 드릴 예정인데 항우울제를 비롯한 모든 정신과 약물의 개발 방향은 바로 효과의 최대화와 부작용의 최소화입니다

항우울제를 포함한 정신과 약물은 뇌의 신경세포를 건드려서 작동하게 되는데 뇌는 한정된 공간에 매우 많은 세포들이 몰려있는 공간으로 우리가 건드리고 싶은 신경세포만 선택적으로 건드리는 것이 원칙적으로 쉽지 않기 때문에 개발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았던 부작용이 너무 심하게 나타나거나 의도 했던 효과가 너무 적게 나타나는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부작용과 효과가 의도한 대로 나타나지 않아서 원래 의도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예가 이전에도 설명드렸던 트라조돈으로 트라조돈은 원래 성기능 장애와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항우울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서 개발되었지만 항우울 효과는 용량에 비해서 너무 떨어지고 진정작용만 이상할 정도로 강해서 처음에 의도했던 우울증 약으로는 잘 사용되지 못하고 수면 유도제로만 사용되고 있습니다

해람 연구회 최신 글 보기 !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