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약 단약할 때 주의하셔야 하는 세로토닌 금단 증후군 📉

안녕하세요 해람 연구회 입니다

우울증 진단을 처음 받고 약물 처방을 받고 약을 꾸준히 먹고 나서 이제 증상이 거의 다 사라지게 되고 일상 생활 하는데 별다른 어려움이 없는 상태까지 다다르게 되면 슬슬 우울증약 단약에 대한 생각도 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울증 약을 처음 먹을 때 부작용을 겪으실 수도 있지만 보통은 다른 약들도 먹을 때가 문제이지 끊을 때 문제가 되는 경우는 별로 없으니까 바로 끊어도 될 것으로 생각하시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요

우울증 약을 끊을 때는 우울증이 재발하는 것 이외에 조심하셔야 하는 것이 하나 더 있습니다 ⚠️

a korean university student is trying to overcome depressive disorder. draw this in a korean webtoon style

세로토닌 금단 증후군(Serotonin Withdrawal Syndrome)

우울증 약은 뇌의 세로토닌 농도의 변화를 일으키는 약이고 이 세로토닌 농도의 증가 때문에 우울증 약의 부작용이 나타납니다

그런데 끊을 때는 또 세로토닌 농도가 감소해서 생기는 문제점이 있는데 바로 세로토닌 금단 증후군(Serotonin Withdrawal Syndrome)입니다

세로토닌 금단 증후군의 증상은 다음과 같은데요

  • 어지럼증: 세로토닌 불균형으로 인해 중심을 잡기 어렵거나 어지러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 두통과 메스꺼움: 머리가 아프고 토할 것 같은 느낌이 심하게 있을 수 있습니다
  • 우울증 증상의 악화: 많이 좋아졌던 우울증의 증상들이 갑자기 다시 나타나는 느낌을 받습니다
  • 불면: 어지러움, 두통과 같은 증상들 때문에 잠에 들기가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도 문제이지만 이전 포스팅에서 말씀 드렸듯이 우울증 약을 갑자기 끊는 경우에는 우울증 재발의 위험도 천천히 끊는 것 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우울증 약을 천천히 끊는 것을 권합니다 🤕

a korean university student is trying to overcome depressive disorder. draw this in a korean webtoon style

실수로 약을 먹지 않았을 때도 세로토닌 금단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우울증 증상이 모두 좋아져서 약을 끊어야 겠다고 생각하셔서 우울증약 단약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사실 가장 흔한 경우는 약을 먹은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집에 먹어야 할 약이 남아있는 경우입니다

문제는 이때도 세로토닌 금단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인데 우울증 약을 먹고 있는데 갑자기 심한 두통과 어지러움이 발생해서 하루를 힘들게 보낸 뒤에 집에 돌아와 보니 오늘 약을 빼놓고 먹지 않은 경우 입니다

이렇게 우울증 치료 중에 실수로 약을 먹지 않아서 심한 두통과 어지러움이 발생한 경우 세로토닌 금단 증후군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약을 먹지 않은 사실을 발견한 즉시 약을 드시면 두통이 사라지기도 합니다 😣

a korean university student is trying to overcome depressive disorder. draw this in a korean webtoon style

세로토닌 금단 증후군의 심각도는 사람마다 큰 차이가 있습니다

그런데 약을 갑자기 끊었는데도 불구하고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경우도 사실은 꽤 많이 있는데 이는 우울증 약의 효과가 개인차가 큰 것 처럼 세로토닌 금단 증후군의 심각도도 개인차가 매우 크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어떤 분들은 의도치 않게 하루 정도 약을 실수로 먹지 못했는데도 심각한 어지러움과 두통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어떤 분들은 끊었는지도 인지하지 못하고 약을 끊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개인차만큼 중요한 것이 현재 어떤 약을 먹고 있는지인데 다른 항우울제 보다 벤라팍신(Venlafaxine)이나 데스벤라팍신(Desvenlafaxine)의 세로토닌 금단 증후군의 증상이 훨씬 더 심한 경우가 많습니다 🧩

a korean university student is trying to overcome depressive disorder. draw this in a korean webtoon style

우울증약과 함께 먹는 항불안제, 수면제도 금단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우울증 약의 세로토닌 금단 증후군도 문제이기는 한데 우울증 치료를 할 때는 불안과 불면을 줄이기 위해서 벤조다이아제핀 계열의 항불안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약들도 금단 증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인데요

가장 흔하고 가장 힘들어 하는 부작용은 바로 불면증인데 위에서 설명드렸듯이 세로토닌 금단 증후군에도 불면이 있기 때문에 약을 한번에 끊게 되면 심한 불면증이 오실 수 있고 약을 다시 먹게 되는 가장 흔한 이유가 불면증이기도 합니다 💊

a korean university student is trying to overcome depressive disorder. draw this in a korean webtoon style

우울증약 단약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정신과 선생님과 함께 천천히 줄여나가는 것입니다

사실 모든 약은 끊을 때 서서히 줄여가는 것이 가장 좋은데 금단증상도 문제이지만 약을 줄이게 되면 치료가 되었던 증상들이 다시 나타나는 경우가 상당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항우울제를 줄일 때는 아예 줄이는 스케줄이 따로 나와 있을 정도로 천천히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만 보통은 증상이 이미 없어졌는데 단순히 약을 줄이기 위해서 병원을 또 오는 것을 부담스러워 하시기 때문에 잘 지켜지지 않는 편입니다

가장 안전하게 우울증 약을 끊는 방법은 재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세로토닌 금단 증후군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정신과 선생님과 함께 천천히 끊어나가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을 테이퍼링(Tapering)이라고 부릅니다 👩‍⚕️

해람 연구회 최신 글 보기 !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