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람 연구회 입니다
예전에는 우울증이 있어도 치료를 받기 보다 참는 경우가 많았다고 하면 요즘에는 우울증을 진단 받는 것에 대해서 사회적 인식이 많이 바뀌어서 정말 많은 분들이 정신과에 찾아오시고 예전이라면 모르고 지나갔을 만한 우울증을 알게 되어 치료를 받게 되는 경우가 늘어났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울증을 진단 받는 것은 우울증 진단을 받는 당사자에게는 매우 큰 일이고 우울증 진단을 받으면 다소 당황하시면서 치료를 위해서 어떻게 대응을 해야 하는지 물어보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중 대표적인 것 하나가 우울증 진단을 받고 직장을 쉬어야 하는지 여부인데요 오늘은 우울증 휴직 또는 퇴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우울증이 심하지 않다면 직장을 그만두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우울증이 심하지 않을 때는 직장을 그만두지 않는 것이 더 좋습니다
단순히 직장을 나가지 않으면 집에서만 있으면서 무기력해지기 때문에 직장에 출근을 계속하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우울증 치료의 목표는 직장생활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우울증 치료를 하는 도중에 직장에 나가지 않은 상태에서 우울증이 회복된다고 하더라도 직장에 나갔을 때 우울증 증상이 더 심해질지, 아니면 좋아진 상태가 유지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치료 효과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라도 직장에는 나가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

우울증이 있을 때 퇴사하는 것은 정말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우울증 진단을 받고 우울증의 원인이 스트레스 받는 직장생활에 있다고 생각하여 안정적인 직장을 그만두고 회복에 집중해야겠다고 생각하고 직장을 그만두시는 분들도 계신데 이는 신중해야 합니다
우울증은 기본적으로 모든 대상을 부정적으로 보이도록 만드는 상태를 말하기 때문에 우울증이 없었다면 부정적으로 보이지 않았을 좋은 직장 마저도 답이 없고 미래가 없는 단순한 착취의 공간으로 느껴지게 할 수 있습니다
퇴사는 한 번 하우면 되돌릴 수가 없기 때문에 우울증 진단을 받았다면 지금 회사를 바라보는 관점이 부정적으로 바뀌어 있을 가능성 때문에 퇴사와 같이 되돌릴 수 없는 결정보다는 되도록이면 휴직을 하고 우울증 치료 후에 퇴사에 대해서 다시 진지하게 고려해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

그렇다면 휴직을 고려해야 할 정도의 우울증이라는 것은 어느 정도 상태를 말하는 것인가요?
위에서 가벼운 우울증인 경우에는 휴직 같이 직장 생활을 중단하는 것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말씀드렸는데 그렇다면 휴직을 할 정도의 우울증 상태는 어느 정도 상태를 말하는 것일까요?
휴직을 할 정도의 우울증은 우울증의 증상으로 인해서 글을 읽는 것이 어렵거나 대화의 내용을 기억하지 못할 정도가 되어서 회사 생활에 심한 지장을 주는 경우입니다
우울증은 슬픈 감정이 가장 힘든 점이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으시지만 우울증은 일시적인 뇌 기능의 저하로 보는 것이 더 정확하며 당사자에게 가장 힘든 증상은 집중력, 문해력이 떨어지는 인지기능의 문제입니다
이 인지기능이 회사생활이나 일상생활을 심하게 저하하지 않을 정도를 경도의 우울증이라고 하고 이 때는 휴직을 하지 않는 것이 좋으나 심한 지장을 주는 상황이라면 휴직을 고려하는 것이 좋은 상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현재 휴직을 해야할지 여부에 대해서는 진료하고 계신 정신과 선생님과 상의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제가 글로 설명드리기는 했지만 본인이 어느 정도의 우울증 상태에 있는지 스스로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을 수 밖에는 없습니다
스스로의 상태를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신과 전문의라는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것이므로 현재 우울증 상태가 직장을 계속 다니는 것이 좋은지 아니면 휴직을 하는 것이 좋은 정도의 상태인지는 담당하고 계신 정신과 선생님과 상의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담당 정신과 선생님과 상의하시면 진료하면서 나타나는 인지 증상과 필요하다면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서 현재 우울증의 정도를 평가하고 휴직을 하는 것이 좋은지 여부에 대한 조언을 구할 수 있습니다 😊

해람 정신건강 연구회 입니다 정신과와 심리학, 건강에 대한 지식을 정신과 전문의가 전달하고 과학적인 정보를 통한 건강한 삶을 살아가실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test.hearam.kr 에서는 간단한 심리검사를 직접 해보실 수 있습니다
해람 연구회 최신 글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