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람 연구회 입니다
정신과 진료를 받기 전에 고민하시는 것 중에 하나가 정신과 진료 비용이 얼마나 나올지에 대한 것인데요 아무래도 정신과 진료비가 비싸다는 이야기를 많이 듣기 때문입니다
정신과 마다 진료 내용이 조금씩 차이가 있고 이 때문에 진료비용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정신과 진료비가 어느 정도인지 말씀드리는 것은 조금 어려운 일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정신과 진료비용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어떤 요인들 때문에 비싸지고 저렴해지는지를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
![a korean university student is taking psychiatric consultation. draw this in a korean webtoon style](https://hearam.kr/wp-content/uploads/2024/11/drlee2976_a_korean_psychologist_is_having_consultation._draw_th_372d9ee1-0ad2-43d1-9343-150816b0633d.png)
정신과 진료비는 정신과에서 정하지 않습니다
정신과 진료는 국민건강보험법의 통제를 받고 정신과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행위는 가격이 건강보험 심사 평가원 고시를 통해서 정해져 있습니다
그래서 정신과에서 비용을 마음대로 올릴 수도 없고 깎고 싶다고 해서 깎을 수도 없는 구조이고 정해진 진료비만 받아야 합니다
진료비를 안받거나 깎아드릴 수도 없는데 이는 국민건강보험의 과다한 지출을 막기 위해 환자 본인의 본인 부담률을 정해 두고 이 본인 부담금을 깎아주거나 면책하는 행위가 법으로 금지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 본인 부담률이 행위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고 오시는 시간과 날짜, 그리고 한 달에 몇번 오시는지에 따라 다양한 행위료가 가산될 수 있기 때문에 진료하는 의사도 진료가 끝나기 전 까지 얼마를 받아야 하는지 알 수 없습니다 💼
![a korean university student is taking psychiatric consultation. draw this in a korean webtoon style](https://hearam.kr/wp-content/uploads/2024/11/drlee2976_a_korean_university_student_is_taking_psychiatric_con_6b3f9f06-ef66-44bb-88aa-51dc9353c477.png)
정신과 진료비용은 진료시간이 길면 비싸지고 짧으면 저렴해집니다
정신과 진료비용은 기본 초진료 재진료에 다양한 행위료가 가산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정신과에서 대표적인 행위료는 상담시간에 따라 차등되는 상담수가 입니다
이 상담수가는 시간에 따라서 증가하게 되어 있어서 진료시간이 길어질 수록 금액이 증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래서 진료 시간이 길어지면 길어질 수록 수가가 올라가기 때문에 진료비용이 비싸지고 반대로 짧으면 짧을 수록 진료비가 낮아지게 됩니다 🕒
![a korean university student is taking psychiatric consultation. draw this in a korean webtoon style](https://hearam.kr/wp-content/uploads/2024/11/drlee2976_a_korean_university_student_is_taking_psychiatric_con_b0f8a9b0-c8f0-4d92-992f-9a7c3ca11673.png)
검사를 많이 하면 비싸지고 적게 하면 저렴해집니다
검사비용 또한 대표적인 행위료 중에 하나인데 당연히 검사를 많이 하면 비싸지고 적게하면 저렴해집니다
그런데 검사를 어느 정도 하는 것이 맞는지에 대한 것이 특별히 정해진 것은 없고 진료하고 있는 정신과 의사의 판단에 따라 검사를 진행하게 되는데 진료하시는 선생님의 스타일에 따라서 비용차이가 나게 됩니다
보통은 진료시간이 길 수록 진료를 조금 더 꼼꼼히 보려는 성향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진료시간이 긴 곳일 수록 검사를 조금 더 많이 하는 경향이 있고 반대로 진료시간이 짧을 수록 검사비용도 저렴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a korean university student is taking psychiatric consultation. draw this in a korean webtoon style](https://hearam.kr/wp-content/uploads/2024/11/drlee2976_a_korean_university_student_is_taking_psychiatric_con_d371f542-0525-4964-b520-18a126fc6004.png)
정신과 진료비 중에 가장 많은 차이가 나는 것은 약제비 입니다
정신과는 의약분업 예외인 경우가 많이 있고 그래서 원내에서 약을 처방 받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요
정신과 진료비에서 진료 내용에 따라 가장 많은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 바로 약제비 입니다
약이 많이 필요한 사람도 있고 적게 필요한 사람도 있으며 저렴한 약으로는 효과가 없거나 부작용이 심해서 비싼 약을 써야 하는 경우도 있는 등 처방 내역이 사람 별로 차이가 굉장히 크기 때문입니다
진료하는 선생님의 약 선호도도 비용에 많은 영향을 주는데 오리지널 약을 선호하시는 경우에 오리지널 약은 약 값 자체가 매우 비싸기 때문에 진료비가 많이 나오는 경향이 있고 제네릭 약을 선호하는 경우에는 약제비가 저렴해지기도 합니다
그리고 약 처방 일수에 따라서도 상당한 차이가 나기 때문에 정신과 진료비 중에서 가장 변동이 큰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a korean university student is taking psychiatric consultation. draw this in a korean webtoon style](https://hearam.kr/wp-content/uploads/2024/11/drlee2976_a_korean_psychologist_is_having_consultation._draw_th_e3470802-9ca5-479b-a7bf-569ab0d8a252.png)
정신과 진료비에는 약제비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위에서 대표적인 수가와 행위료에 대해서 설명을 드렸는데 정신과 진료비에는 약제비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약제비가 가장 변동이 큰 비용 부분이기는 하지만 약을 처방하기 위해서 진료를 것 자체에 대한 진료비가 산정되기 때문에 약을 14일 받다가 28일을 받는다고 해서 진료비가 두 배가 되지 않고 28일치를 받다가 14일치를 받는다고 해서 진료비가 절반이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진료를 보지 않고 약만 처방 받는 것도 불가한데 정신과 약들은 전문의약품이기 때문에 진료를 반드시 보셔야 하고 원격처방이 금지되어 있는 향정신성약품을 쓰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원격진료도 하기가 어렵습니다 🤔
![a korean psychiatrist is writing a document](https://hearam.kr/wp-content/uploads/2024/11/drlee2976_a_psychologist_is_writing_a_document._draw_this_in_a__a7ea83fe-ee65-46f6-b236-0d47eb58497f.png)
정신과 진료 비용은 진료하고 있는 의사도 정확히 알수는 없습니다
위에서 설명드렸듯이 진료비를 산정하는 것 자체가 복잡하기 때문에 수기로 일일히 할 수가 없고 진료비를 산정하는 것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고시 사항에 따라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정신과 진료 비용은 진료가 끝나기 전까지 진료하는 의사도 알 수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진료받는 분의 진단이나 상태, 진료 스타일에 따라서 비용의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그래서 미리 진료비용에 대해서 미리 정확하게 안내를 해드릴 수는 없고 병원 데스크에서 대락 어느 정도 비용이 나오는지에 대한 범위를 말씀드릴 수 밖에 없으므로 진료보고 싶은 병원에 연락하셔서 대략적인 비용의 범위를 안내 받는 것이 그나마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