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지만 미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성인 ADHD 치료제 중 하나인 에더럴(Adderall)은 덱스트로암페타민의 서방형 약물로 성분명에 암페타민이 들어가있다 보니 이를 필로폰(메스암페타민)와 헷갈리는 분들도 많은 편입니다
하지만 미국에서 널리 쓰이는 Adderall(에더럴)과 필로폰으로도 알려져 있는 메스암페타민(Methamphetamine)은 비슷한 화학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약리학적으로 큰 차이를 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약물의 주요 차이를 살펴보고, 각 약물의 수용체 결합 특성 및 임상적 활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
![a korean university student is trying to overcome focusing problem.](https://hearam.kr/wp-content/uploads/2024/11/drlee2976_a_korean_university_student_is_trying_to_overcome_foc_20239ada-6919-4e91-8b04-f1ea9ab4eb07.png)
애더럴(Adderall)과 필로폰(Methamphetamine)의 기본 차이
애더럴(Adderall)은 암페타민(Amphetamine)의 혼합물로, 주로 ADHD 치료에 사용되고 우리에게는 익숙하지 않지만 미국에서는 콘서타 만큼이나 흔하고 자주 쓰이는 약물입니다
다만 대한민국에서는 이 약물이 판매 허가를 받지 않았기 때문에 대한민국에서 이를 반입하여 사용하는 것은 불법입니다
필로폰(Methamphetamine)은 합법적 용도에서는 기면증이나 비만 치료에 데속신(Desoxyn)이라는 성분명으로 아주 제한적으로 처방될 수 있지만 합법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드물고 한국에서 처럼 불법 약물로 정맥주사 해서 더 자주 사용됩니다
이렇게 애더럴(Adderall)은 합법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필로폰(Methamphetamine)은 아주 제한적으로만 사용되는 이유가 있는데 이는 필로폰이 도파민 방출량이 훨씬 더 많기 때문으로 이는 강한 의존성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a korean university student is trying to overcome focusing problem.](https://hearam.kr/wp-content/uploads/2024/11/drlee2976_a_korean_university_student_is_trying_to_overcome_foc_f4af737b-9062-4570-a77f-1c71ed5755cf.png)
애더럴(Adderall)과 필로폰의 결정적인 차이는 수용체 결합 특성입니다
두 약물의 가장 큰 차이는 수용체 결합 특성인데 애더럴과 필로폰 모두 도파민 운반체(DAT)와 결합해서 도파민 운반체의 기능을 떨어뜨려서 도파민이 신경세포 말단으로 재흡수되는 것을 막아서 작동하며 뇌 내에서의 도파민 농도를 올리게 됩니다
그런데 애더럴(Adderall)은 도파민 운반체와 가역적(Reversible)하게 결합하는 반면 필로폰은 도파민 운반체와 비가역적(Irreversible)으로 결합해서 영원히 기능을 떨어뜨리게 됩니다
그래서 도파민이 축적되는 정도가 애더럴에 비해서 필로폰이 훨씬 더 강력하기 때문에 집중력 강화와 피로감 회복 뿐만 아니라 도파민의 폭증으로 인한 행복감과 쾌감도 필로폰이 비교도 할 수 없게 강렬한 것입니다 📈
![a korean university student is trying to overcome focusing problem.](https://hearam.kr/wp-content/uploads/2024/11/drlee2976_a_korean_university_student_is_trying_to_overcome_foc_2007d981-83cf-4707-a6e4-15a2c0220762.png)
필로폰의 신경독성은 비가역적일 수 있습니다
필로폰이 대부분의 국각에서 불법적인 약물이고 허가된 나라에서 조차 특별한 허가가 없으면 처방하는 것이 불가능한 이유는 위에서 말씀드린 비가역적인 도파민 운반체의 결합에 의해서 신경세포가 영구적인 손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애더럴의 경우 용량을 의도치 않게 과도하게 썻다고 해도 약이 체내에서 빠져나가면서 뇌 내의 도파민 농도가 원래대로 돌아오는 반면에 필로폰의 경우는 나중에 과량 복용인 것을 인지하고 약을 끊는다고 하더라도 도파민 농도가 원래대로 바로 돌아오지 않고 수용체가 재생산될 때 까지 기다려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금단증상도 훨씬 더 심하게 오기 때문에 의존성이 높고 끊기가 어렵고 어떻게 끊는다고 하더라도 반복된 도파민 운반체의 파괴가 이루어기 때문에 신경세포가 영구적인 손상을 입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국가에서 불법으로 규정하는 것입니다 📅
![a korean university student is trying to overcome focusing problem.](https://hearam.kr/wp-content/uploads/2024/11/drlee2976_a_korean_university_student_is_trying_to_overcome_foc_73fa51d0-1e5c-4563-a9a8-cde515aedf13.png)
그렇다면 애더럴(Adderall)은 안전한 약물일까요?
성인 ADHD에 사용되는 약물들은 비자극제인 아토목세틴(Atomoxetine)을 제외하고는 의존성에 완전히 안전한 약물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애더럴이 비록 가역적으로 도파민 운반체에 결합하기는 하지만 뇌 내의 도파민 농도를 비정상적으로 올릴 수 있는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의존성이 있는 약물인 UN 향정신성의약품에 관한 협약에서 Schedule II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성인 ADHD 치료에 가장 많이 쓰이는 약물인 콘서타 역시 이 의존성의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고 역시 Schedule II 약물로 지정되어 있으므로 콘서타는 반드시 병원에서 적절하게 처방 받아서 드셔야 하며 남용하지 않도록 주의하셔야 합니다 🚧
![](https://blogpfthumb-phinf.pstatic.net/MjAyNDA5MjZfMjU1/MDAxNzI3MzM4ODc3NzUw.3Zc9wACUuiyTdJQt0evcMtS1Yq9LstmYDOY6mQUgKowg.t-OBKk-OTLkVwLSRIDYKO7saVtzTykGnC10EuXsLz5gg.PNG/%EC%8A%A4%ED%81%AC%EB%A6%B0%EC%83%B7_2024-09-26_172018.png/%EC%8A%A4%ED%81%AC%EB%A6%B0%EC%83%B7+2024-09-26+172018.png?type=f204_204)
해람 정신건강 연구회 입니다 정신과와 심리학, 건강에 대한 지식을 정신과 전문의가 전달하고 과학적인 정보를 통한 건강한 삶을 살아가실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test.hearam.kr 에서는 간단한 심리검사를 직접 해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