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람 연구회 입니다
우울증의 진단을 받게 되면 자연스럽게 우울증의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궁금해 하시고 찾아보시게 되는데요 우울증의 원인은 생물학적인 원인부터 오늘 설명 드릴 학습된 무기력과 애착 문제와 같은 후천적인 원인 까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아직 완전히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선천적인 생물학적인 원인은 원인이 무엇인지 알아낸다고 하더라도 고치기가 어렵기 때문에 보통은 어떤 후천적인 이유가 있지 않지는 않을까 찾아보시게 되는데요 우울증의 후천적인 이유에 대해서 가장 유명한 이론 중의 하나는 학습된 무기력(Learned Helplessness)에 의해서 우울증이 발생할 수 있다는 이론입니다
후천적인 무기력에 대한 실험을 진행한 분은 긍정 심리학의 창시자로도 유명한 마틴 셀리그먼(Martin Seligman) 교수님인데요
오늘은 학습된 무기력 실험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우울증과는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
학습된 무기력(Learned Helplessness) 실험
1967년에 마틴 셀리그먼(Martin Seligman) 교수와 오버미어(Overmier) 교수는 무기력감의 원인을 밝혀내기 위한 하나의 실험을 기획합니다
개를 3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각각의 개들을 전기 충격 장치에 놓아두었는데 전기 충격이 시작되고 끝나는 것은 각 그룹마다 다음과 같은 차이를 두었습니다
- 첫 번째 그룹의 개들은 전기 충격 장치에 잠깐 있다가 나오게 됩니다
- 두 번째 그룹의 개들은 전기 충격을 받지만 장치 옆에 있는 레버를 눌러서 전기 충격을 중단 시킬 수 있었습니다
- 세 번째 그룹의 개들은 2번째 그룹의 개들과 같은 타이밍에 같은 정도의 전기 충격을 받지만 세 번째 그룹이 놓여있는 전기 충격 장치의 레버는 작동하지 않는 레버였으며 두 번째 그룹의 개가 레버를 눌러야지만 같이 전기충격에서 벗어나올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전기 충격 장치에서 일정 시간들을 보내고 난 뒤에 3 그룹의 개들은 전기 충격 장치에 다시 들어가는데 이 때는 전기 충격이 나오지 않는 곳으로 도망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었습니다
그런데 1번째 그룹과 2번째 그룹의 개는 아주 간단하게 점프 해서 전기 충격이 없는 공간으로 도망갔지만 3번째 그룹의 개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전기 충격을 받고 무기력하게 전기 충격장치 안에 앉아 있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학습된 무기력 실험은 우울증에서 무기력감이 발생하는 이유를 설명해줍니다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실험은 우울증의 증상 중에 특징적인 증상 중에 하나인 무기력감이 발생하는 원인이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해서 알려줍니다
우리가 우리 환경을 통제할 수 있는 통제 능력을 가지지 못한 채로 오랜 시간을 보내게 되면 현재의 세상과 우리의 미래를 바꾸려는 노력을 완전히 포기하게 되고 이런 모습이 학습된 무기력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렇게 학습된 무기력감이 신경전달물질의 변화나 뇌 신경에서의 변화를 일으켜서 우울증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어린 시절의 양육 환경이 학습된 무기력감을 만들어내는 가장 중요한 이유입니다
학습된 무기력감을 유발하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가장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은 어린 시절의 양육 환경입니다
양육 환경이 안정적이지 못했던 경우, 성인 기에서 겪는 스트레스와 다르게 어린시절의 양육환경은 어린 아이가 노력해서 빠져 나올 수 있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본인이 아무리 노력해도 현재 환경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렇게 어린 시절의 학대 또는 좋지 않은 양육 환경은 성인이 되어서 경험하게 된 실패나 대인관계 문제와는 비교도 할 수 없게 심한 학습된 무기력감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정신과에 처음 내원하게 되었을 때 어렸을 때의 양육환경을 물어보는 주된 이유이기도 합니다 🧩
성인 ADHD에서 우울증이 잘 발생하는 원인도 학습된 무기력감으로 설명하기도 합니다
성인이 되서도 학습된 무기력이 발생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성인 ADHD에서 우울증이 발생하는 것을 학습된 무기력으로 설명하기도 합니다
성인 ADHD의 진단기준에서도 알 수 있지만 성인 ADHD는 성인이 되서 갑자기 집중력이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어린 시절 부터 있었던 ADHD가 성인기까지 남아있는 것이기 때문에 어린 시절 부터 계속해서 집중력 저하로 인한 다양한 실패를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실패가 성인기에도 극복되지 않고 반복되게 된다면 본인의 노력으로는 어떻게 해도 실패를 극복하기 어렵다는 학습된 무기력감을 겪을 가능성이 높고 이 때문에 성인 ADHD에서 우울증이 잘 발생하게 된다고 봅니다
이렇게 생긴 우울증은 안 그래도 집중력이 좋지 않은 성인 ADHD 환자들에게서 집중력이 더 낮아지게 만들 수 있고 집중력 문제를 정말로 심하게 만들게 되어 정신과를 방문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게 만들기도 합니다 🛠️
해람 정신건강 연구회 입니다 정신과와 심리학, 건강에 대한 지식을 정신과 전문의가 전달하고 과학적인 정보를 통한 건강한 삶을 살아가실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test.hearam.kr 에서는 간단한 심리검사를 직접 해보실 수 있습니다